반응형
운영체제
운영체제: 컴퓨터의 각종 하드웨어적인 자원과 소프트웨어적인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영, 관리함으로써 사용자가 시스템을 이용하는 데 편리함을 제공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, 컴퓨터 시스템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프로그램
운영체제의 운용 방식
- 일괄 처리 시스템
- 실시간 처리 시스템
-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
- 시분할 처리 시스템
- 다중 처리 시스템
- 분산 처리 시스템
운영체제의 종류
- Windows
- UNIX
파일 시스템이 트리 형태의 계층적 구조, 멀티유저와 멀티태스킹 지원, C언어로 작성되어 이식성과 확장성 좋음 - Linux
리누스 토발스가 개발 - OS X (macOS)
UNIX 기반 - iOS
UNIX 기반 - Android
오픈 소스 기반, 무료로 제공, Windows나 다른 운영체제와의 연동이 자유로움, 리눅스 기반
운영체제의 목적 (성능 평가 요소)
- 처리능력(Throughput)
시스템의 생산성을 나타내는 단위로, 일정 시간 동안 처리하는 일의 양 - 응답시간(Turnaround Time)
작업 의뢰 후 시스템에서 결과가 얻어질 때까지의 시간 (낮을 수록 좋음) - 신뢰도(Reliability)
주어진 문제를 얼마나 정확하게 처리하는가의 정도 - 사용 가능도(Availability)
시스템을 얼마나 빨리 사용할 수 있는가의 정도
참고: 홍태성 외, 컴퓨터활용능력 2급 필기, 1권 컴퓨터 일반, 이기적, 영진닷컴, 20쪽.
반응형
'자격증 > 디지털정보활용능력(DIAT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디지털정보활용능력(DIAT) - 정보통신상식] ROM(롬)의 종류, RAM(램)의 종류 (0) | 2022.02.01 |
---|